본문 바로가기

지속가능한도시

(2)
도시계획 속 숨겨진 공간들 도시의 그늘에 숨은 인프라: 잊혀진 구조물의 현재급격한 도시화와 산업화는 다양한 인프라 구축을 수반해왔다. 도로, 철도, 지하철, 공장, 발전소, 저류지와 같은 구조물은 도시의 기능적 뼈대이자 사람들의 삶을 지탱하는 보이지 않는 기반이었다. 그러나 도시의 구조와 기능이 변화하면서 이들 중 일부는 시대적 역할을 다하고, 기능을 잃은 채 잊혀지거나 방치되는 운명을 맞이했다. 우리는 종종 그 존재조차 인식하지 못한 채, 무심코 그 위를 지나치며 살아간다. 도시의 겉모습이 세련되어질수록, 그 속에 감춰진 오래된 인프라는 점점 더 깊숙이 그늘로 사라지고 있다.대표적인 사례로는 폐쇄된 고가도로, 기능을 멈춘 지하보도, 활용되지 않는 철로, 폐공장 등이 있다. 서울의 청계고가도로는 오랫동안 교통의 중심축 역할을 했지..
도시 미세 농업의 미래 도시화와 식량 위기: 왜 미세 농업이 필요한가21세기 들어 인류의 삶은 급속히 도시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다. 2020년 기준 전 세계 인구의 약 56%가 도시에 거주하며, 2050년에는 이 수치가 70%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도시는 편리한 인프라와 경제 활동의 중심지로 기능하지만, 동시에 식량 생산과 소비의 불균형을 심화시키는 공간이기도 하다. 과거 농촌 지역에서 직접 재배한 농산물을 소비하던 방식은 도시화로 인해 무너졌고, 오늘날 대부분의 도시는 외부 지역에서 생산된 식품에 의존하는 구조를 갖게 되었다.이러한 구조는 여러 가지 문제를 야기한다. 첫째, 도시의 식량 자급률은 매우 낮고, 이는 외부 공급망에 대한 높은 의존도와 함께 식량 안보의 취약성을 의미한다. 둘째, 식량을 도시로 운반하기 위한 ..